리베라토

오늘은 전기차의 상식에 대해 알아봅니다.

 

같은 동급의 차량이면 전기차 가격이 훨씬 비쌉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기차 인기는 계속 증가하고 있는데요.

 

전기차 보조금이 줄어들고 있긴 하지만 환경을 보호하는 차량이라는

 

이미지와 함께 유지비용이 기존의 가솔린 차량에 비해서

 

훨씬 적게 들어 전기차를 사려는 분들이 많습니다.

 

 

전기차를 고를 때 어떤 것이 좋을지 모델을 알아보는 것도 좋지만,

 

우선은 전기차에 대해 알아둬야 할 기본 상식을 점검하는 게 우선이죠.

 

전기차라고 하면 무조건 좋다고 생각하는 분들도 있고,

 

또 전기차를 못 미더워하는 분들도 많기 때문에

 

오늘은 우선 전기차에 대해서 몇 가지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기차 배터리의 폭발 가능성은 없나요?

 

 

자동차를 운행하다 보면 폭발 사고가 가끔 일어나죠.

 

가솔린이나 디젤 차량도 이러한데 전기차라고 과연 안전할까?’

 

새로운 기술이니 더더욱 위험하지 않을까?’

 

이런 생각을 하시는 분들이 적지 않습니다.

 

물론 배터리를 제대로 만들지 않아서 폭발할 가능성이

 

전혀 없다고 단정을 지을 수는 없을 것 같아요.

 

하지만 적어도 안전성 검증시험을 적법하게 통과한다면

 

전기차의 배터리가 폭발할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일단 리튬 계열 배터리는 고열이나 합선 등 여러 이유로

 

배터리에 불이 붙거나 폭발할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다양한 안전장치를 복합적으로 설계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기 모터를 비롯해 다양한 전기 부품들이 고장이 나고,

 

이 고장이 배터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감지가 되면

 

부품의 고장이 배터리로 확산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장치가 있고,

 

BMS라고 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들어가

 

평소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배터리의 밸러스 등을 모니터링해

 

배터리의 오류 등을 상시 점검함으로써 사고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BMS상 이상이 감지되면 다른 회로를 개폐하는 방식으로

 

배터리 전원을 자동으로 온오프해서 조절하게 되죠.

 

여기에 합선이 발생할 때 수동으로 전력이 차단되는

 

퓨즈가 들어가 내외부의 돌발 상황에 대처하게 되고,

 

배터리 자체도 외부 충격으로부터 배터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세라믹 코팅의 분리막을 넣는다든지,

 

방열 기능이 있는 파우치 타입으로 설계한다든지

 

다양한 방식으로 안전 설계를 넣어 불의의 사고에 대처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전기차 배터리는 출동이나 침수, 연소 등

 

다양한 상황에서의 안전성을 점검하고, 해당 시험을 통과한 뒤

 

전기차에 장착이 되므로 배터리 폭발의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우천 시 전기차 충전에 대한 위험성하지 않나요?

 

 

전기차는 전기로 움직이는 자동차이기 때문에

 

배터리를 수시로 충전을 시켜야 하는데요.

 

많은 분들이 비오는 날에 전기차 충전에 대해서

 

위험하지 않을까 생각을 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당연히 전기차를 상용화하면서 위험하지 않게 해놨겠지만

 

어떻게 위험하지 않게 만들어놨는지 확인을 하지 않으면

 

쉽게 안심을 할 수 없는 분들도 많이 있죠.

 

그래서 우선 비가 스며들어도 위험하지 않은

 

전기차의 감전 예방 설계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적인 감전 예방 기법은 총 네 가지가 있는데,

 

첫 번째는 충전구로 흘러들어오는 액체가 바로 배출되도록 하는

 

드레인홀을 설치해 감전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또한 전기를 충전시키는 충전건과 충전구 사이는 실링을 넣어

 

일단 충전기가 한 번 연결된 뒤에는 더 이상 비는 물론

 

다른 액체류가 스며들지 못하도록 돼있습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전기가 통하지 않도록

 

차량과 충전기가 연결이 되고 난 뒤 시간이 좀 지나고 전류가 흐르고,

 

충전을 끝내려고 충전건의 버튼을 누르면 즉시 전류를 차단해

 

접촉부의 손상은 물론 인체 감전을 완벽히 차단하고 있습니다.

 

 

전기차는 전자파가 얼마나 나올까?

 

 

전기차에서 가장 걱정이 되는 것은 역시 전자파

 

전기장치는 무엇이든 전자파가 나오기 때문에

 

전기차도 탑승자에게 유해할지 모른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전기차에서도 전자파는 발생하지만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 기준이나

 

우리 정부에서 마련한 인체 보호 기준에 비하면

 

미미한 양이라 인체에는 무해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세계국제보건기구(WHO)의 전자파 노출 기준은

 

83.3μT(마이크로 테슬라) 이하이고, 국내 기준도 이에 따르는데요.

 

 

전기차에서 나오는 전자파는 정차 중일 때나 주행 중일 때,

 

그리고 충전 중일 때 모두 각각의 시트에 도달하는 것이

 

1~3μT로 넉넉잡아도 WHO의 권고기준의 20배 이하입니다.

 

이는 전기스탠드에서 나오는 전자파인 0.5~2μT

 

TV에서 나오는 전자파 0.35~2μT 등의 노출량과 비슷해서

 

전기차의 전자파가 위험하다는 것은 과장된 이야기라 할 수 있습니다.

 

 

전기차를 친환경차라고 할 수 있을까?

 

 

이건 전기차에 대해서 나오는 의혹 제기 중

 

상당히 마이너한 의혹제기라고 할 수 있는데,

 

전기차가 따지고 보면 친환경이 아니라는 겁니다.

 

전기는 갑자기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화력발전 등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발생하므로

 

전기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환경을 해친다는 건데요.

 

이런 논리는 충분히 제기될 수 있는 거라고 생각하지만

 

제대로 따지면 휘발유나 경유로 운행을 하는

 

일반 화석연료 자동차에 비하면 환경오염 정도는 매우 적습니다.

 

CO2 배출량을 고려하면 전기를 온전히 화력발전으로 생산한다고 해도

 

전기차 운행거리 1km 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110g에 불과하지만,

 

가솔린차는 146g, 디젤차는 128g으로 전기차가 더 적습니다.

 

전기차 배터리 교체 비용은?

 

 

사용자의 입장에서 전기차의 가장 큰 장점은

 

가솔린차나 디젤차에 비해 유지비가 저렴하다는 것인데요.

 

이에 대해 배터리 교체 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오히려 전기차가 부담이 될 수 있다고 말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우선, 전기차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30km~60km 정도를 사용할 수 있어

 

일반적으로 연간 2km 정도를 운행을 했을 때

 

15년에서 30년까지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배터리의 사용연한이 이렇게 차이가 나는 것은

 

배터리의 수명이 방전 및 충전횟수에 따라 다르기 때문인데,

 

완전 소진 후 100%까지 충전하면 약 1,000회 정도 충전이 가능하고,

 

50% 사용 후 충전 시 약 5,000, 20% 사용 후 충전 시 약 8,000회입니다.

 

최근 출시되는 전기차를 1회 충전했을 때 보통 350km 이상은 달릴 수 있으니

 

이를 기준으로 계산을 하면 최소 30km에서 최대 60km 이상이 되고,

 

이 정도라면 전기차를 타는 내내 배터리를 교체할 가능성은 없죠.

 

실제로 국내외에서 전기차를 생산하는 브랜드 중에는

 

배터리를 평생 보증하는 곳도 많습니다.

 

생산업체에서도 전기차 배터리를 교체할 일은 없다는 걸 아는 거죠.

 

 

전기차 주행 거리, 왜 국가별로 다를까?

 

 

국내에서 친환경차에 지원금을 줄 때

 

가장 중요한 기준이 전기로만 달릴 수 있는 거리죠.

 

그래서 하이브리드 자동차들 중 대다수는

 

정부의 지원금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런데 같은 모델의 유럽 주행거리를 보면 훨씬 높아서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거리인 경우가 많습니다.

 

왜 유럽에서 출시한 차량들은 주행 거리가 길까?

 

일단 주행거리를 평가하는 방법이 달라서 그런데,

 

한국과 미국 같은 경우는 도심에서의 주행과 고속 주행,

 

정속 주행 등 다양한 상황을 복합적으로 평가합니다.

 

반면, 유럽에서는 급가속이나 감속, 초고속 주행 등

 

한국과 미국보다 더 다양한 상황을 감안해 측정을 합니다.

 

이렇게 따지고 보면 유럽에서의 측정 방법이

 

오히려 더 운행거리가 적게 나와야 할 텐데,

 

실제로는 유럽이 더 긴 거리가 나오죠.

 

그 이유는 인증거리와 실제 주행거리가 다르기 때문인데

 

유럽은 측정한 주행거리를 모두 인증거리에 반영하지만

 

한국이나 미국은 주행거리의 70%만 인증거리에 반영합니다.

 

따라서 같은 사양의 모델이라고 해도 한국이나 미국의 주행거리보다

 

유럽의 주행거리가 길게 나타날 수밖에 없는 구조란 거죠.

 

 

이상으로 많은 분들이 전기차에 대해 궁금해 하시는 것을

 

하나씩 정리를 해봤는데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네요.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