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베라토

예방법이 없다, 조기진단과 치료가 어렵다, 생존율도 낮다암의 치명성을 평가할 때 3가지 측면에서 가장 최악의 평가를 받는 암, 바로 췌장암이다. 최근 보건복지부와 중앙암등록본부(국립암센터)가 발표한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5~2019) 발생한 암 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은 70.7%로 나타난 가운데, 췌장암은 13.9%로 가장 낮은 생존율을 보였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한국인의 췌장암과 발병 인자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발생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손꼽히는 것이 있다. 바로 혈당이다. 특히 공복혈당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공복혈당은 8시간 이상 금식 후 측정한 혈당농도를 말한다. 당뇨병 진단에 쓰이는 기준으로 126mg/dL 이상이면 당뇨병, 100~125mg/dL이면 공복혈당장애로 의심하고, 다른 날 다시 검사하여 확인해야 한다.

 

 

그동안 당뇨와 췌장암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많았다. 혈당을 조절하는 호르몬인 인슐린의 정상적인 기능이 이뤄지지 않기 때문에 그 기능을 담당하는 췌장암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제는 당뇨뿐만 아니라 공복혈당이 낮은 사람들에서도 췌장암의 위험을 가늠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국내에서 2005~2006년 수검자를 대상으로 2017년까지 췌장암 환자를 추적 관찰한 결과, 췌장암 발생 위험을 2배 이상 증가시킨 주요 요인은 높은 공복혈당으로 나타났다. 100/미만을 기준으로 할 때, 공복혈당이 100~125일시 췌장암 위험이 1.42, 공복혈당이 126 이상일 경우 2.07배로 증가한 것이다.

 

이에 따라 공복혈당이 높을수록 췌장암의 초기 증상일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췌장암 초기 단계에서 당뇨병 유발 물질이 분비됨에 따라 혈당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췌장은 혈당 조절에 관여하는 호르몬인 인슐린과 글루카곤의 분비 기관이다. 음식물로 섭취한 당을 소장에서 흡수하면 췌장에서는 다량의 인슐린을 혈액으로 분비한다. 췌장은 몸 깊숙이 위치하기 때문에 암이 생겨도 증상을 알아차리기 힘들다. 황달, 통증, 체중감소 등이 통상적인 증상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때는 이미 진행돼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췌장암이 2기 이상 진행되면 통증은 상복부에서부터 등쪽에서 나타나기도 한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췌장암의 80% 이상은 3, 4기에 발견된다. 이때는 수술이 힘든 상태다. 1, 2기 수술을 통해 완치를 기대할 수 있는 경우도 20%도 안되며, 수술하더라도 90%는 재발하기 쉽다.

 

당뇨병 환자에서 암 발병률은 정상인보다 훨씬 높다는 연구결과들은 계속 나오고 있다. 췌장암이 공복혈당과 가장 큰 연관성을 보이고, 남성에서는 식도암, 간암, 대장암, 직장암이 여자에서는 간암, 자궁경부암의 발병률 및 사망률이 높다는 보고도 있다. 공복혈당이 증가함에 따라 암 발생률도 그만큼 증가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당뇨병 환자에서 암 선별 검사가 정기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의학계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특히 췌장암의 특별신호가 되는 공복혈당, 췌장암 예방을 위해서는 혈당조절이 필수. 고지방식 음식을 피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통한 몸무게 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 췌장암 병력이나 당뇨가 있는 사람들은 정기적인 검진을 받도록 권장한다. 갑자기 당뇨병 진단을 받았거나, 당뇨병이 있는데 혈당이 잡히지 않거나, 당뇨병을 오래 앓았다면 췌장암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이미 진행된 당뇨뿐 아니라 당뇨 전 단계에서도 공복 혈당이 높을수록 췌장암에 걸릴 위험이 높아질 수 있는 만큼 공복혈당지수에 변화가 생길 때에도 검사가 필요하다. 건강검진을 통해 고혈당의 조기 진단을 받고, 식습관 조절을 통한 혈당 조절이 췌장암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다.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